전체 글 91

안드로이드 팔레트 컴포넌트(2):Buttons

이번 포스팅은 안드로이드 팔레트 컴포넌트 카테고리 중 Buttons을 봐보도록 하겠습니다. Buttons 카테고리에는 10개의 컴포넌트가 있습니다. 지금부터 하나씩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Button : 버튼 안에 텍스트가 들어가 있는 버튼을 생성할 수 있습니다. Android>app>java>MainActivity에서 setOnClickListener로 버튼을 누르면 어떤 작업을 할 것인지 설정할 수 있습니다. ​ 2.ImageButton : 버튼 안에 이미지가 들어가 있는 버튼을 만듭니다. ​ 3.chip :워드 혹은 카테고리, 요소, 타입 등을 표현 할 때 종종 타원형의 background에 그 텍스트를 표현하는 버튼 입니다. 출처: https://medium.com/wasd/material-..

Android 2020.03.16

안드로이드 팔레트 컴포넌트(1):Text

여러분 안녕하세요!쉴틈없이 돌아온 세밍입니다! 이번 포스팅은 안드로이드 팔레트 컴포넌트 시리즈 입니다! android>app>res>layout에 들어가면 xml 파일이 있습니다. 아래 사진과 다르게 코드만 뜰 수 있는데, 이때 오른쪽 상단의 그림 표시로 바꾸면 아래처럼 창이 뜰겁니다. 저기 Palette 보이실까요? 열어져 있는 Common은 많이 사용하는 컴포넌트 들을 모아 놓은 것이구 Text, Buttons, Widgets, Layouts, Containers, Google, Legacy 총 7개의 하위 카테고리들이 있습니다. 그 중 3개 Text, Buttons, Widgets 을 다뤄보랴고 합니다! 팔레트에 있는 컴포넌트들을 탐구해 보겠습니다! Text 카테고리에는 17가지의 컴포넌트들이 있습..

Android 2020.03.16

안드로이드 인텐트를 알아보자!

여러분 안녕하세용 >.0 제가 앞선 메니페스트 포스팅에서 인텐트에 대해서 다룰 거라고 말씀드렸죠? 오늘이 그날입니다!! (이거 소프트스퀘어드 과제의 일환으로 금요일까지 3개의 과제가 있는데요, 이제 1-3번이네요 하핫 그래도 힘내봅시다!) 인텐트(Intent)는 다른 앱 구성요소(Activity, Service, Broadcast Receiver, Contents Provider)로부터 작업을 요청하는 메시징 객체입니다. ​ 인텐트를 사용하는 사례는 대표적으로 3가지가 있습니다. ​ ​ ▶액티비티 시작 Activity는 앱 안의 단일 화면을 나타냅니다. Activity의 새 인스턴스를 시작하려면 인텐트를 ​startActivity()로 전달하면 됩니다. 인텐트는 시작할 액티비티를 설명하고 모든 필수 데이..

Android 2020.03.16

Menifest의 <>로 된 속성들 -3-(3)

이번 포스팅으로써 menifest의 속성과 menifest의 시리즈가 끝납니다! 27번까지 부지런히 달려보아요!! ​ 18. . . . {설명} 어플리케이션 컴포넌트들 중에 하나로써 브로드캐스트 리시버를 선언합니다. 브로드캐스트 리시버들은 운행이 중지한 어플리케이션의 다른 컴포넌트들에게 또는 다른 어플리케이션 또는 시스템에 의한 브로드캐스트되는 intents 들을 받기 위해 리시버들을 활성화 합니다. ​ 19. . . . {설명} activity들과는 다르게 서비스는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없습니다. 서비스는 긴 백그라운드 운행에 사용되고 또는 다른 어플리케이션들에 의해 호출되는 API커뮤니케이션에 사용되곤 합니다. ​ 20. {설명}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제공받는 single GL texture compre..

Android 2020.03.16

Menifest의 <>로 된 속성들 -3-(2)

지난 포스트에 이어서 Manifest의 속성들을 알아보겠습니다! ​ 8. {설명} 부모 컨텐츠 공급자로써 하위 집합 사용 권한을 부여할 수 있도록 지정합니다. Data 부분집합들은 URI 컨텐츠의 부분 경로로써 안내되어 집니다. (URI의 인증 부분은 내용물 제공자를 확인합니다.) ​ 9. {설명} 시스템과 어플리케이션의 상호작용을 모니터 할 수 있게끔 해주는 Instrumentation 클래스를 선언합니다. Instrumentation 객체는 어플리케이션의 컴포넌트들 중 어떤 것이라도 인스턴스화 됩니다. ​ 10. . . . {설명} activity, service, broadcast receiver 들이 반응할 수 있는 intents의 타입들을 서술합니다. 하나의 intent filter는 activ..

Android 2020.03.16

Menifest의 <>로 된 속성들 -3-(1)

오늘은 Menifest 문서 안의 요소들에 대해서 공부해 볼 것입니다! 총 27가지의 요소가 있습니다 각 속성에 대한 설명과 하위 속성에 어떤 것들이 있고 어떤 기능들을 하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우선 메니페스트 파일이 어떻게 되어 있는지 보겠습니다. . . . . . . . . . 1. {포함된 요소} ​ {설명} indent-filter에 더해서 사용합니다. indent-filter 요소는 반드시 하나 이상의 action 요소를 포함하고 있어야 합니다. 만약에 어떤 것도 포함하고 있지 않다면 어떤 객체도 필터기능을 사용할 수 없습니다. ​ {속성} >>android : name action의 이름을 나타냅니다. 보통의 일반적인 action들은 ACTION_string 상수로써 intent 클래..

카테고리 없음 2020.03.11

2020.03.08 오늘의 일상탐구

요즘 제가 새로 만들어서 활동하는게 있어요! 코스코라는 모각코 동아리인데요! 여기서 모각코란 '모여서 각자 코딩하다'의 줄임말로 서로 공부하는 것들이 달라도 같이 옆에서 각자 코딩 공부하는 걸 의미해요! 특히 코딩같은 경우 자기자신이 코딩을 직접 해보며 숙련하는 것이 좋지만 혼자 공부할경우 게으름의 늪에 빠지기 쉽상이라 같이 모여서 코딩하는 문화가 확산되고 있어요ㅎㅎ 저도 원래 안드로이드 앱개발을 찔끔찔끔 해오다가 혼자서 공부하니 잘 안돼 같이 모각코 할 사람들을 구해 동아리를 만들었답니다! 저희 동아리는 매주 월요일 정기 모각코 날 외에 자유롭게 개인이 게릴라 모각코 날을 만들 수 있어요! 3월 8일은 제가 게릴라 모각코를 만들었답니다:) 오늘은 왕십리의 힙덱이라는 곳에서 진행했습니다! HipDeck ..

Menifest.xml 파일의 4대 Component -2-

앞서 매니페스트가 무엇인지 다루었던 포스트에서 Activity, 의 Service, Broadcast Receiver, Content Provider을 4대 컴포넌트라고 말씀 드렸죠?! ​ 오늘은 그 4대 컴포넌트가 무엇인지 세세하게 알아보는 시간을 가지도록 하겠습니다. Activity 사용자와 상호작용하기 위한 진입점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한 화면 하나를 나타냅니다. 구글 이메일의 이메일 목록을 표시하는 액티비티 ​ 예를 들어 이메일 앱이라면 새 이메일 목록을 표시하는 액티비티가 하나 있고, 이메일을 작성하는 액티비티가 또 하나, 그리고 이메일을 읽는 데 쓰는 액티비티가 또 하나 있을 수 있습니다. 여러 액티비티가 함께 작동하여 해당 이메일 앱에서 짜임새 있는 사용자 환경을 구성하는 것은 사실이지..

카테고리 없음 2020.03.09

Menifest.xml 파일이 뭘까? -1-

안드로이드 앱을 만들다 보면 Manifest.xml 파일을 보실 수 있는데요! 오늘은 Manifest.xml 파일이 무엇인지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볼게요! Manifest.xml 파일의 4가지 주요 기능 매니페스트 파일은 다른 앱에 관한 필수 정보를 1.Android 빌드 도구 2. Android 운영체제 3. Google Play에 설명하는 역할을 합니다. ​ 이 말은 매니페스트파일 안에 앱에 대한 필수 정보가 담겨 있어야 한다는 의미 인데요, 어떤 정보들이 담겨햐 하는지 알아 봅시다 ​ 1. 패키지 이름과 애플리케이션 ID Manifest.xml 파일의 4가지 주요 기능 Android빌드 도구는 프로젝트를 빌드할 때 이름을 통해 코드 엔터티의 위치를 확인합니다. 앱을 패키징 할 때 빌드 도구가 이 값을..

카테고리 없음 2020.03.09

소프트 스퀘어드 1번째 수업

소프트 스퀘어드는 원래의 수업형태이던 그룹식(5~6명의 그룹 수업)이 있는데 지난 6기까지의 피드백을 받아 1:1 과외 형태의 수업방법이 새롭게 만들어 졌다고 합니다! 소프트스퀘어드는 하루 5시간 이상을 투자해야 할 정도로 과제 양이 많고 일주일에 한번 2달간 진행되는 강도 높은 프로그램으로 기존의 사람들이 현생(직장, 학교)를 살아가다 보니 못 따라가고 중도 포기 하는 경우가 있었다고 해요. 그래서 3개월간 개인의 속도대로 나아가는 1:1 과외 형태의 수업 방식이 만들어 졌다고 합니다 (나중에 제가 소프트 스퀘어드 수료 후 소프트 스퀘어드에 대해서 더욱 자세히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 저는 지금 대학교 3학년에 재학 중이기에 3개월 짜리 1:1 과외 형식을 신청해서 진행하고 있습니다! 이 글을 작성하..

Android 2020.03.0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