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포스팅으로써 menifest의 속성과 menifest의 시리즈가 끝납니다!
27번까지 부지런히 달려보아요!!
18.<receiver>
<receiver android:enabled=["true" | "false"]
android:exported=["true" | "false"]
android:icon="drawable resource"
android:label="string resource"
android:name="string"
android:permission="string"
android:process="string" >
. . .
</receiver>
{설명}
어플리케이션 컴포넌트들 중에 하나로써 브로드캐스트 리시버를 선언합니다.
브로드캐스트 리시버들은 운행이 중지한 어플리케이션의 다른 컴포넌트들에게 또는 다른 어플리케이션 또는 시스템에 의한 브로드캐스트되는 intents 들을 받기 위해 리시버들을 활성화 합니다.
19. <service>
<service android:enabled=["true" | "false"]
android:exported=["true" | "false"]
android:icon="drawable resource"
android:isolatedProcess=["true" | "false"]
android:label="string resource"
android:name="string"
android:permission="string"
android:process="string" >
. . .
</service>
{설명}
activity들과는 다르게 서비스는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없습니다.
서비스는 긴 백그라운드 운행에 사용되고 또는 다른 어플리케이션들에 의해 호출되는 API커뮤니케이션에 사용되곤 합니다.
20.<supports-gl-texture>
<supports-gl-texture
android:name="string" />
{설명}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제공받는 single GL texture compression에 대해서 선언합니다.
21.<supports-screens>
<supports-screens android:resizeable=["true"| "false"]
android:smallScreens=["true" | "false"]
android:normalScreens=["true" | "false"]
android:largeScreens=["true" | "false"]
android:xlargeScreens=["true" | "false"]
android:anyDensity=["true" | "false"]
android:requiresSmallestWidthDp="integer"
android:compatibleWidthLimitDp="integer"
android:largestWidthLimitDp="integer"/>
{설명}
어플리케이션이 필요로 하는 스크린의 크기를 지정합니다.
(기본, 최신 어플리케이션은 모든 스크린 크기를 지원하므로, 이 설정은 비활성화 해야 합니다.)
22.<uses-configuration>
<uses-configuration
android:reqFiveWayNav=["true" | "false"]
android:reqHardKeyboard=["true" | "false"]
android:reqKeyboardType=["undefined" | "nokeys" | "qwerty" | "twelvekey"]
android:reqNavigation=["undefined" | "nonav" | "dpad" | "trackball" | "wheel"]
android:reqTouchScreen=["undefined" | "notouch" | "stylus" | "finger"] />
{설명}
어플리케이션이 필요로 하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특징들을 지정해줍니다. 예를 들어 물리적 키보드와 특정한 네비게이션 디바이스 또는 트랙볼이 필요로 한다면 적어줘야 합니다. 하지만 대부분의 앱들은 이 속성을 사용하지 않습니다.
23.<uses-feature>
<uses-feature
android:name="string"
android:required=["true" | "false"]
android:glEsVersion="integer" />
{설명}
지원하지 않는 장치에 설치되지 않도록 하는 옵션입니다.
예를 들어 카메라를 지원하지 않는다면 카메라를 적어주면 됩니다.
24.<uses-library>
<uses-library
android:name="string"
android:required=["true" | "false"] />
{설명}
어플리케이션에서 링크되어야 할 공유 라이브러리를 지정합니다.
이는 시스템에게 해당 패키지를 위한 클래스 로더에 라이브러리 코드를 포함하게 됩니다.
25. <uses-permission>
<uses-permission android:name="string"
android:maxSdkVersion="integer" />
{설명}
어플리케이션 구동 중 필요한 기능을 사용자에게 보여주고 수락/거절이 결정됩니다. 어떤 기능은 거절 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 안될 수도 있다.
26.<uses-permission-sdk-23>
<uses-permission-sdk-23 android:name="string"
android:maxSdkVersion="integer" />
{설명}
어플리케이션이 API 레벨 23 또는 그 이상에서 구동되길 원한다면 특정한 권한이 필요합니다. 만약 디바이스가 API 레벨 22이하에서 구동한다면 이 권한이 필요없습니다.
27.<uses-sdk>
<uses-sdk android:minSdkVersion="integer"
android:targetSdkVersion="integer"
android:maxSdkVersion="integer" />
{설명}
최소 설치 SDK 버전을 지정합니다. 그 이하 버전의 시스템엔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기본 값은 1 입니다.
드디어 menifest 파일 편이 다 끝났네요!!
안드로이드 공부하시는 분들께 도움 됐음 좋겠습니다!
다음 편은 intent 편입니다! 다음편에서 봬요~~~
'Android'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안드로이드 팔레트 컴포넌트(2):Buttons (0) | 2020.03.16 |
---|---|
안드로이드 팔레트 컴포넌트(1):Text (0) | 2020.03.16 |
안드로이드 인텐트를 알아보자! (0) | 2020.03.16 |
Menifest의 <>로 된 속성들 -3-(2) (0) | 2020.03.16 |
소프트 스퀘어드 1번째 수업 (0) | 2020.03.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