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번 시간에 로컬에 디렉토리가 있으면 리모트에 레포지토리가 있다고 했죠?
그래서 로컬에서 깃허브에 파일을 올리려고 하면 먼저 깃허브에 레포지토리가 있어야 하는 것입니다!
그래서 오늘은 깃허브 가입과 레포지토리를 만드는 것을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1. 깃허브 가입
구글에 깃허브라고 치거나 아래의 링크로 들어가서 sign up 버튼을 눌러 가입을 해줍니다!
2. 레포지토리 만들기
사용 이메일 인증까지 해주시면 아래와 같은 그림이 나오는데 Create repository 버튼을 눌러주도록 합시다
제가 깃에 대한 첫번째 글(위에 넣은 링크의 글)에서 로컬에서 작업하는 폴더를 디렉토리라고 하면 깃허브 리모트에 있는 작업폴더를 레포지토리라고 했는데요! 그 레포지토리를 만드는 것입니다!
1. Repository name에 원하는 이름을 적어요(필수)
2. Description에는 Repository를 설명하는 내용을 적는데 안적어도 됩니다
3. Public 과 Private 같은 경우는 레포지토리를 사람들에게 공개할 것이냐, 아니냐에 따라 달라지는데 그냥 우선 Public으로 해서 하겠습니다.
4.Initialize this repository with 들은 레포지토리를 만들 때 옵셔널하게 넣어주는 부분들인데 하나씩 가볍게 살펴보자면
1) Add a README file : README file 또한 레포지토리 안에 담긴 프로젝트, 코드 등을 설명할 때 사용하기 위한 파일을 먼저 넣어 놓는 것 입니다. 저희는 체크하도록 하겠습니다
2) Add .gitignore : 로컬에서 리모트로 올리지 않을 파일들을 설정하는 것 입니다
3)Choose a license : 저작권처럼 레포지토리가 공개되어 있는 경우에서 타인이 자신의 코드를 사용하려 할 때 그 사용범위를 정하는 것입니다.
그래서 레포지토리 이름과 Public에 체크, Add a README file 만 선택 한 다음 Create repository 버튼을 눌러 레포지토리를 만들어 줍니다!
위 사진처럼 되면 잘 만들어진 거에요!! 짝짝 너무 수고하셨어요!!
오늘도 열심히 한 당신 칭찬해~~
'IT 지식 다반사 > 깃허브랑 친해지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깃허브 리모트에 로컬 파일 올리기 (0) | 2021.02.26 |
---|---|
깃 다운로드/설치 하기 (0) | 2021.02.24 |
깃과 깃허브랑 친해지기 : 깃, 깃허브 입문 (0) | 2021.02.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