깃허브 2

깃허브 리모트에 로컬 파일 올리기

드디어!! 드디어!! 깃허브에 파일을 올려보는 시간이 왔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오늘은 깃허브의 리모트와 로컬에 대한 개념이 몹시 중요합니다! 만약 검색해서 이 포스팅부터 들어오신 분들은 아래의 포스팅을 한번 읽고 오시기를 추천드릴게요! 특히 리모트와 로컬의 개념을 설명한 부분이요! se-minggrr.tistory.com/26?category=1187461 (초보자를 위한) 깃과 깃허브랑 친해지기 : 깃, 깃허브 입문 여러분 안녕하세요! 오늘은 깃과 깃허브가 뭔지 알고 친해지는 시간을 가지려고 해요! 원래는 깃허브를 어떻게 사용하는지에 대해서 글을 먼저 쓰려고 했는데 깃과 깃허브가 뭔지, 어떻게 그것 se-minggrr.tistory.com 아래의 설명 부터는 컴퓨터에 깃이 깔려있고 깃허브에 가입되어 있..

깃과 깃허브랑 친해지기 : 깃, 깃허브 입문

여러분 안녕하세요! 오늘은 깃과 깃허브가 뭔지 알고 친해지는 시간을 가지려고 해요! 원래는 깃허브를 어떻게 사용하는지에 대해서 글을 먼저 쓰려고 했는데 깃과 깃허브가 뭔지, 어떻게 그것들이 작동하는지를 알려줘야 더 센싱하게 이해할 수 있겠더라고요! 그래서 오늘은 깃과 깃허브가 뭔지, 둘의 차이는 어떻게 되는지, 돌아가는 구조는 어떻게 되는지 초보자의 입장에서 한번 톺아보는 시간을 가지도록 하겠습니다! 1. 깃과 깃허브 깃과 깃허브 둘 다 git이라는 단어가 들어가서 충분히 헷갈릴 수 있어요 1.1 깃 깃은 '버전 관리 기술'입니다. 마치 '클라우드 저장기술 및 저장된 자료 상호 비교 기술' 같은 느낌 정도로 생각하시면 될 것 같아요! (실제 기술은 클라우드가 아니라 그런 느낌 정도로 생각하시면 될 것 같..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