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약) 숫자는 대상의 정량적인 비교가 가증하게 한다. 시간의 흐름에 따라 변화도를 측정할 수 있으며 사이트 내에서 사용자 행동을 수치화 해서 기업의 의사결정에 반영하기도 한다. 하지만 숫자가 단순하고 단정적이라고 하지만 세상은 가변적이라 쉽사리 결론을 숫자로 단정지을 수 없다. 예를 들어 오늘 가게에 손님이 3명 오고 어제는 6명이 왔고 그제는 한 명도 안왔다고 했을 때, "내일 가게에 손님이 3명 온다." 고 확정짓기 보다 "평균 3명 온다" 고 말하는 편인 거다 데이터 상의 숫자 차이가 조금 있다고 하더라도 그 조금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의미가 있는지, 고려 전제조건은 있는지, 차이가 유효한 건지 등을 알아봐야 한다. - t 검정 : 두 집단 간의 평균의 차이가 유의미한지 검정 - z 검정 : 모집단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