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 데이터 분석/아티클 & 책

아티클) 모수와 표본 : 모수가 이렇게 충분한데 그냥 쓰면 안될까?(리디북스_데이터분석가의 숫자유감)

세밍_ 2021. 4. 25. 23:24
728x90
반응형

요약

사람들이 많이 '모수'를 '모집단'의 수 라고 착각한다. '모집단'은 전체 집단이라고 생각하는데, 모집단의 특성을 정확히 아는 것은 상당히 힘들다.(조사의 어려움, 일관성의 어려움 등)

그래서 통계 분석을 할 때 큰수의 법칙을 이용한다. 큰수의 법칙은 표본의 크기가 충분히 크면 그 때의 표본 평균은 모평균에 가까워진다는 것이다. 여기서 '모수'의 정의가 나오게 되는데 '모수'는 모집단의 수치적 요약값'이다. 모평균이나 모표준편차 같은 모집단에 대한 통계값이다. 표본 데이터에서 통계값을 구해 모집단의 통계값인 '모수'라고 말하며 이를 근거로 모집단의 형태를 추측한다.

하지만 모수는 모집단의 특정 고객군을 특정할 수는 없다는 사실을 알아야 한다.

 

느낀점

모수와 모집단, 표본에 대한 개념을 다시 한번 정리할 수 있게된 계기가 되었다.

또한 데이터 분석가라면 사람들이 보통 자기만의 시각으로 세상을 바라보려는 자세에서 벗어나 새로운 용어와 지식을 기반으로 객관적으로 세상을 해석해야 함을 느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