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러분 안녕하세요!! 드디어 파이썬 파트 마지막 포스팅입니다!!
ㅜㅜㅜ여러분 너무 수고 많으셨어요 정말 대단해요!!
물론 데이터 분석 파트가 여러분을 기다리고 있지만 처음 시작하신 분들은 정말 대단한거에요!!
마지막까지 화이팅입니다!
함수
여러분이 중고등학생 때 함수를 배웠을거에요! 아래같은 그림과 함께 말이죠
함수는 그림처럼 입력에 따라 출력이 나오는 대응관계입니다
오른쪽에 보면 함수를 빵만드는 기계라고 했잖아요!
코딩에서 함수는 '이동하는' 빵만드는 기계라고 생각하시면 돼요!
빵만드는 기계를 미리 만들어 두고 필요할 때 꺼내서 쓴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만약에 똑같은 코드들이 반복해서 사용되는 상황을 생각해 보겠습니다.
코드는 한글자 한글자가 데이터로 저장되는데 똑같은 코드 글자들이 반복해서 적어지면 용량을 많이 차지하겠죠?
또한 똑같은 코드를 반복해서 쳐야 하는 것도 상당히 귀찮고 번거로울거에요!
그래서 함수를 사용합니다!
나중에 '좋은 개발자란' 등의 글에서 언급할 거지만 저는 좋은 개발자는 다른 사람이 봤을 때 읽기 쉬운 코드를 짜는 사람이 좋은 개발자라고 생각해요.
코드를 반복적으로 작성하는 것보다 함수로서 구현해 놓고 끌어와서 사용하면 코드 줄이 줄어드니 가독성도 훨씬 좋겠죠? 프로그램의 흐름파악에 유리합니다!
예를 들어 *로 삼각형을 그린다고 해볼게요
함수로 만든 쪽이 훨씬 간결하고 흐름을 파악하기 쉽죠?
사용자는 삼각형을 그리는 구체적인 코드를 몰라도 호출해서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요
위의 예시를 보면 함수를 어떻게 만드는지 알 수 있습니다.
입력인자는 넣어주기도 하고 넣지 않기도 합니다.
맨 위의 함수 그림처럼 넣는 값에 따라 나오는 결과 값을 달리해주고 싶으면 입력인자를 넣어주고
만약 입력인자가 필요없이 함수를 호출하면 바로 실행되게 하려면 바로 위의 예처럼 입력인자를 작성하지 않기도 합니다.
반환값은 바로위의 예시처럼 하나의 값이 나와 변수에 저장하는 것이 아니면 return 반환값 대신 print()를 사용해주고
만약 함수에서 하나의 값이 나와야 한다면 return 반환값을 지정해 줍니다.
만약 입력인자와 반환값이 존재하는 함수는 아래와 같습니다
와~~~~드디어 파이썬 파트가 끝났습니다!! 정말 수고하셨어요!!
이 기세로 데이터 분석까지 뿌셔 봅시다!!! 화이팅~~~
'AI & 데이터 분석 > 코딩1도몰라도따라하기만하면데이터분석가능' 카테고리의 다른 글
데이터 분석에 필요한 라이브러리 설치 (2) | 2021.03.17 |
---|---|
파이썬 : 자료형 dictionary (0) | 2021.03.17 |
파이썬 : 자료형 list (응용) (0) | 2021.03.17 |
파이썬 : 자료형 list (기본) (0) | 2021.03.17 |
파이썬 : 반복문 for (0) | 2021.03.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