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 데이터 분석/코딩1도몰라도따라하기만하면데이터분석가능

파이썬-조건문 if

세밍_ 2021. 3. 15. 11:36
728x90
반응형

여러분 안녕하세요! 

오늘은 파이썬 기초 3번째 시간!

조건문 if에 대해서 공부해 보려 합니다!


조건문

조건문은 조건이 만족할 때 실행하는 코드가 있을때 사용해요!

위처럼 만약에 조건문이 참이면 삼키고 거짓이면 뱉다를 실행하고 종료하는 것 처럼요!

예시를 보면 저런 조건문이 우리 생활과 삶속에서 굉장히 많이 사용되고 있지요?

그처럼 조건문도 코딩할 때 굉장히 많이 사용된답니다!

 

1. 조건문의 구조 1 : 기본 구조

conditions이 True면 true_statements가 실행되고 거짓이면 ture_statements가 실행되지 않아요

이후 모든 조건문 실행이 끝나면 next_statements가 실행됩니다. 

더보기

💜 코드 해석

변수 a에 2를 할당해 선언, 변수 b에 3을 할당해 선언

if a % 2 ==1 : 만약 a를 2로 나눠서 나머지가 1과 같으면

   print(a) : a 를 출력함

예를 보면 2인 a를 2로 나눴을 때 나머지가 1이 아니니, 즉 False니 print(a)가 실행되지 않았습니다. 

그리고 나서 그 다음 next_statements에 해당하는 if b%2 ==1: 이 실행되는데요, 이때 3인 b를 2로 나눠 나머지가 1인게 맞으니, 즉 True니 print(b)가 실행되었습니다. 

 

2. 조건문의 구조 2 : 심화구조

conditions이 True면 ture_statements가 실행되지만 False면 else의 false_statements가 실행되고 모든 조건문이 종료되면 next_statements가 실행됩니다.

첫번째 구조는 만약 conditions이 참이면 true_statements 실행되고 아님 말아 이런 구조였는데

이번 구조는 만약 conditions이 참이면 true_statements가 실행되고 아님 false_statements 실행해 이런 구조 입니다. 

위의 예시를 보면 2인 a를 나누고 나머지가 1이 아니니, 즉 False니 print("짝수입니다.")가 실행되었고 그 다음 조건문들이 실행되었습니다. 3인 b를 나눈 나머지가 1이니, 즉 True니 print(b)가 실행되었습니다. 

 

3. 조건문의 구조 3 : 응용구조

위 둘은 같은 구조 입니다. 

conditions1이 False일 때 그 다음 conditions2가 참인지 거짓인지 체킹을 받는데 첫번째 코드는 정석처럼 첫번째 조건이 거짓이라는 상황에서 그 다음 벌어질 if-else문을 만들었고, 두번째 코드는 이를 보다 간단하게 만들었습니다.

그래서 만약 conditions1이 참이면 if_statements1이 실행되고 그게 아니고 conditions2가 참이면 if_statements2가 실행되고 그것도 아니라면 최후로 if_statements3을 실행해 라는 구절이 됩니다. 

 

 

위의 예시를 보면 2인 a를 3으로 나눌때 나머지가 0이 아니니 print("3의 배수")가 실행되지 않았고 그럼 나머지가 1인고 하니 그것도 아니라 print("나머지로 1이 남는다")도 아니기에 최후의 수단! print("나머지로 2가 남는다")가 실행되었습니다. 

728x90
반응형